매출기준 계산하는 방법 완벽 가이드


홈택스 바로가기
부가세 계산기 바로가기

정부 지원사업을 신청하기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매출기준 계산하는 방법을 사업자 유형별로 정리했습니다. 기본적인 매출 계산 공식부터 간이/일반/프리랜서 사업자 각각의 계산 방식까지, 이 글에서 모두 확인하세요.



기본적인 매출 계산 공식


가장 기본적인 매출 계산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매출 = 판매단가 × 판매수량

예: 단가 10,000원짜리 제품을 500개 판매한 경우 → 매출 = 10,000 × 500 = 5,000,000원

하지만 정부 지원사업에서는 실제 장부나 신고서를 기준으로 한 매출기준 계산하는 방법을 적용합니다.



① 간이과세자 – 매출기준 계산 방법

  • 기준 서류: 부가가치세 신고서 (간이과세자용)
  • 기준 항목: 공급대가 (면세 포함 전체 매출)

계산 공식:

매출 = 공급대가

예: 2023년 공급대가가 2,200만 원 → 기준(2,400만 원 이하) 충족 → 신청 가능




② 일반과세자 – 매출기준 계산 방법

  • 기준 서류: 부가가치세 신고서 + 종합소득세 신고서
  • 기준 항목: 과세매출 + 면세매출 + 영세율 수출매출

계산 공식:

매출 = 과세매출 + 면세매출 + 영세율매출

예: 과세매출: 6,000만 원 면세매출: 1,000만 원 영세율매출: 500만 원 → 총 매출 = 7,500만 원 → 기준(8,000만 원 이하) 충족




③ 프리랜서 / 플랫폼 노동자 – 매출기준 계산 방법

  • 기준 서류: 국세청 지급명세서
  • 기준 항목: 총 지급금액 – 비과세 항목

계산 공식:

매출 = 총 지급금액 - 비과세 항목

예: 총 수입 2,500만 원 - 비과세 교통비 100만 원 → 매출 = 2,400만 원 → 기준 충족




④ 공동사업자 – 매출기준 계산 방법

공동대표의 경우 지분율에 따라 매출을 안분합니다.

계산 공식:

개인 매출 = 총매출 × 지분 비율

예: 총매출 6,000만 원 × 지분 50% = 개인 매출 3,000만 원




자주 하는 실수

실수 사례 설명
통장 입금액 기준으로 계산 세무 신고 기준과 일치하지 않으면 불인정
현금매출 미신고 신고되지 않은 매출은 제외됨
비과세 항목 포함 교통비, 식대 등 비과세 금액은 제외
매출에서 비용을 차감 매출은 ‘수익 총액’, 비용을 빼지 않음



전체 요약표

사업자 유형 기준 서류 매출 계산 공식 기준 매출
간이과세자 부가세 신고서 공급대가 약 2,400만 원 이하
일반과세자 부가세 + 종소세 신고서 과세 + 면세 + 영세율 약 8,000만 원 이하
프리랜서 지급명세서 지급금액 – 비과세 약 2,400만 원 이하
공동사업자 신고서 + 지분계산 총매출 × 지분율 개인 기준 확인




매출기준 계산하는 방법은 단순한 수학적 계산이 아니라, 정부가 인정하는 세금 신고 기준을 기반으로 한 판단입니다.

기본 공식은 단가 × 수량이지만, 실제 신청 조건에서는 부가세 신고서, 종합소득세 신고서, 지급명세서가 기준입니다.

정부 지원사업을 신청하기 전에는 반드시 본인의 사업자 유형에 따라 매출기준 계산하는 방법을 정확히 이해하고, 누락 없이 신고된 금액을 기준으로 판단하세요.

실수 없이 신청하고, 놓치지 않고 혜택을 받기 위해 꼭 사전에 매출기준을 점검해보시기 바랍니다.